?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정소득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법령근거 없이 시행하는 보건복지부의 임의 지침으로 조건부수급자가 조건을 불이행하는 경우, "수급자가 소득이 있으면서도, 소득이 없다고 주장 할 때소득을 추정하여 부과하는 것"으로 수급자에게 추정소득 매월 583,200(최저임금)을 부과하여, 실제 존재하지 않는 소득으로 인해 수급권이 박탈(수급탈락)되거나, 생계 및 주거급여를 삭감시키는 방식으로 정부가 빈곤층 예산을 삭감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어 법률적 대응을 위한 검토를 요청 드립니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34(급여 변경의 금지) 수급자에 대한 급여는 정당한 사유 없이 수급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할 수 없다.

 

동법 시행령 제3(소득의 범위), 동법 시행규칙 제2(소득평가액의 산정방식), 6(생계급여의 지급방법) 등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추정소득을 보장기관(국가)에서 부과 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그럼에도 보건복지부 장관은 임의로 추정소득 지침을 통해, 실제 소득이 존재하지 않는 수급자에게 소득이 있다며, 수급자의 소득을 부과하는 계산방식으로 소득평가액에 산정하여 수급()자의 급여를 일방적으로 삭감하고, 수급권을 탈락시키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실제로 전라북도(전주시)는 조건부수급자가 조건을 불이행한다는 이유만으로 추정소득을 일괄적으로 부과하고 있어, 수급권이 박탈(탈락)되거나, 생계급여 및 주거급여를 다른 가구원에게 적용하지 않도록 한 규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최초 ‘2010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에서도, ‘2013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에서도 추정소득 부과대상자를 근로능력이 있는자로서 취업 및 근로여부가 불분명하여 소득을 조사 할 수 없으나 주거 및 생활실태로 보아 소득이 없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로 명확히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조건부수급자에게 추정소득을 부과하는 것은 안내서의 지침을 위반한 것이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규칙 제7(생계급여의 중지 및 재개 등) 4항에 의한 ‘2013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에서도 조건부수(권자) 본인의 생계급여를 중지할 때라도 조건 불이행자 본인을 뺀 나머지 가구원만을 기준으로 동일 소득인정액에 해당하는 생계급여를 지급하고, 조건 불이행자를 포함한 가구의 주거급여를 지급하도록 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근본 취지를 위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 2000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보건복지부) 40페이지

2000년도 추정소득 지침(p40).jpg

 

<그림 > 2013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보건복지부) 92페이지

2013년도 추정소득 지침(p92).jpg

 

<그림 > 2013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보건복지부) 158페이지

지2013년도 생계급여 중 지침(p158).jpg

[언론보도]

[전민일보13.10.17] 가짜빈민 솎으려다 진짜 빈민 사지로 내몰리라
 평화주민사랑방, 빈곤예산 삭감 수단악용 주장
http://www.jeonmin.co.kr/news/article.html?no=103572

 

[전라일보13.10.17] 도내 기초수급 대상 3152가구 탈락
http://www.jeollailbo.com/news/general_view.php?code4=PO0100001&An=411848&PHPSESSID=45c0ce1b4c830bf08b97a5bcd2fd91a7

 

[13.10.17 MBC] 추정소득 때문에 탈락 속출

http://pps.icomn.net/439480#0

 


  1. [기고] 문제를 해결하는 중심에 서고, 너무 작아 하지 않는 일들을 찾아 하는

    Date2011.10.06 Views9973
    read more
  2. 주민권익옹호센터를 제안하며...

    Date2014.02.18 Views5500
    read more
  3. 시민의 눈높이로 본, 전주 시내버스 안전은?(차량연식_정보공개청구_파일첨부)

    Date2014.06.16 Views3754
    Read More
  4. 오히려, 가장 빈곤한 어르신에게는 기초연금 20만원 혜택이 없다.

    Date2014.06.12 Views3145
    Read More
  5. [6.4 지방선거] 전주시내버스 해결은 누구 ?

    Date2014.05.30 Views2801
    Read More
  6. 나쁜 정책, 책임져야 할 정당이...? 당선 되려거든, 공약을 걸어야지...!

    Date2014.05.27 Views3237
    Read More
  7. 전주시 생활복지과_주민권익옹호센터 설치 제안(이옥주 전주시의원) 답변 : 추진중

    Date2014.05.20 Views3181
    Read More
  8. 전라북도지사와 전주시장은 부당하게 미지급한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현금(생계+주거)급여를 지급하라!

    Date2014.04.24 Views3373
    Read More
  9. 전북도지사와 전주시장은 부당한 방법으로 수급 탈락시킨 책임이 있다.

    Date2014.04.21 Views3436
    Read More
  10.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38조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추정소득 부과에 대한 이의신청을 합니다.

    Date2014.04.11 Views3132
    Read More
  11.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의 추정소득 주장 및 전라북도 추정소득부과 이의신청에 대한 기각 처분에 대한 반박

    Date2014.04.08 Views4152
    Read More
  12. 2014년 사회복지시설(생활)노동자 인건비 지급기준안내[문서번호 : 전라북도 사회복지과-16685호]

    Date2014.03.17 Views4186
    Read More
  13. 벼룩의 간을 빼 먹고도 오리발 내미는 전라북도에게 주민권익옹호센터를 제안한다.

    Date2014.03.07 Views3308
    Read More
  14. '기초생활보장 현금급여 미지급액'이 무려 약 4년간 6,130,000원

    Date2014.01.29 Views4194
    Read More
  15. `14년 어려운 이웃에게 꼭 필요한 예산을 전라북도+도교육청+도의회에 제안합니다(저소득층 교복구입 및 수학여행비 지원)

    Date2013.12.06 Views5553
    Read More
  16. 쉿, 비공개만이 답변이다. (중앙행정심판청구에 대한 민주당 전북도 김완주지사 답변서 : 첨부)

    Date2013.11.11 Views5542
    Read More
  17.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 "추정소득" 일괄적용! 생존권 위협받고 있다.

    Date2013.10.21 Views7113
    Read More
  18. 10월17일 빈곤철폐의날, 2008~13년 전국 시도별 기초생활수급자 증감 현황

    Date2013.10.17 Views6092
    Read More
  19. LG U+는 "저소득층자녀 인터넷요금" 직접 인출하면 안돼!_ 전북교육청 실태 파악부터 해라!

    Date2013.10.07 Views4361
    Read More
  20. 2013년도 전국 광역시도별 사회복지(생활)시설 노동자 인건비 기본급 비교표

    Date2013.09.23 Views5166
    Read More
  21. 전북도 노인장애인복지과의 국고보조금 지원사업 공모 부정은 단순 실수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Date2013.08.26 Views53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Next
/ 1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