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5.5.18 익산 모녀 사건]

언론 보도된 익산시 해명만으론 납득 어려워... 

 

송파 세모녀 사건은, 기초생활보장 신청자에게 추정소득 부과 처분(세모녀 각 60만원씩, 총180만원 추정소득 부과)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기초생활보장 권리를 침해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서울행정법원 2014. 2. 20. 선고 2013구합51800 판결 참조]

안내서 제88, 89면에서는 추정소득 부과대상자를 ‘취업 및 근로여부가 불분명하여 소득을 조사할 수 없으나 주거 및 생활실태로 보아 소득이 없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자’로 규정하고, ‘조건부수급자 중 조건불이행자’를 추정소득 부과대상자로 보며, 일일 추정임금에 적용일수를 곱하여 추정소득을 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추정소득 부과처분에 관하여 법령상 아무런 근거가 없어(법, 법 시행령, 법 시행규칙 어디에도 추정소득 부과에 관한 아무런 근거 규정도 존재하지 아니하고, 조건부수급자의 조건 불이행 시 생계급여 부지급에 관한 법 제30조 제2항이 추정소득 부과처분의 근거가 될 수 없음은 법문언상 분명하다) 추정소득 부과 처분은 당연무효에 해당한다.

--------------------------------------------------------------------------------------------------------------------------------------------------------------------------------------

 

1. 송파 세모녀 사건에서도 이번 익산 모녀 사건에서도 정확한 진단 또는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민관합동 조사가 필요합니다.

 

이번 익산 모녀 사건은, 기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 보장(생계 및 의료급여)이 중단되고, 그 중단의 사유가 언론에 보도된 것(동일한 주거에서 같이 살고 있는 3인 가구를 1인가구와 2인가구로 각각 다른 주거지로 분리 하여, 2인가구 보장 안내했지만 수급자가 거절)만으로는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객관적인 민관합동 조사만이 그 원인을 찾고, 또 제대로된 대책마련도 가능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부가 제공하는 일부 정보만으로는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한 복잡한 제도입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송파 세모녀 사건입니다. 당시 다수의 언론은 “송파 세모녀가 정부에 도움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보도하였고, 그로인해 결국, “수급자 발굴”에 맞추어진 대책마련으로 귀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송파 세모녀는 정부에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 되었지만, 정부가 법률에 근거도 없이 위법한 추정소득을 부과하는 안내서 때문에, 주민센터에서는 추정소득 안내서 규정을 이유로 기초생활 보장을 하지 않고 돌려 보낸 것입니다.

--------------------------------------------------------------------------------------------------------------------------------------------------------------------------------------

[2015.01.26. 프레시안] 주민센터 거절한 수급 자격, 알고 보니 되네!

*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23503

 

2014.12.20. SBS <그것이 알고 싶다> 967위험한 가족, 그들에게 아무도 없었다.”에서, 세 모녀의 지인이 말한다. "(기초수급 신청) 한 번쯤은 했어, 송파에 살 때 지금 죽은 집에 거기 살 때", "나이가 30대 딸이 둘 있으니까 안 된 거야" 이에 대한 주민센터의 답변이다. "사실 세 분 다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수급자는 불가능합니다. 제가 볼 때는 상식적으로…." 즉 젊고 건강한 사람이 가구원이면 수급자가 될 수 없다는 답변으로 이해된다.

--------------------------------------------------------------------------------------------------------------------------------------------------------------------------------------

 

2. '보장 할 수 없다'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

 

이번 익산 모녀 사건에서 보여준, 익산의 답변은 모녀가구가 익산시의 주거분리 안내(1인가구와 2인가구로 각각 다른 주거지로 분리 하여)에도 불구하고 주거지 분리를 거절해, 어쩔 수 없이 기초생활 보장을 지원 할 수 없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익산시 답변 만으로는 여전히 납득 할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발행한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에서 규정한 “보장가구에서 제외되는 사람”, “별도가구 보장”, “지방생활보장위원회” 등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지만 실제 보장이 가능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혹이 있습니다. 극히 일부 정보만으로는 익산시 답변이 맞는 것이지? 확인이 불가능 합니다.

 

최근 전주시(생활복지과 복지정책팀)가 ‘안내서 241쪽’ 내용을 이유로, "수급자가 소득변경 신고를 제때 하지 않아 발생한, 생계급여 차액(미지급액)를 소급해 지급 할 수 없다"는 안내서 해석을 한 점 또한 정부가 법률에 근거없이 안내서를 통해 기초생활 보장 권리를 침해하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정부가 법률에 근거도 없이 위법하게 추정소득를 부과(2000~2015년까지)한 것과 마찬가지로, 헌법 제37조 제2항의 법률유보 원칙에 반하는 것으로서 아무런 법규적 효력을 갖지 못한다.고 할 것이지만, 추정소득 부과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법원의 위법 판결 이후에도 안내서를 여전히 개정하지 않고, 수년간 행정권력을 남용해 막무가내로 기초생활보장 권리를 침해하는 행정행위를 반복해 생산하고 있는 사례입니다.

--------------------------------------------------------------------------------------------------------------------------------------------------------------------------------------

[2016.01.06. 평화주민사랑방] 13년 7월 추정소득 부과 위법 주장 후, 보건복지부 2016년 개정

* 출처, http://pps.icomn.net/453513

--------------------------------------------------------------------------------------------------------------------------------------------------------------------------------------

정부가 기초생활 수급권을 제한하는 사고 방식에서 탈피하여, 수급권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시각을 전환할 때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정부가 예산절감 또는 부정수급 방지에 초점을 둔 운영에서, 송파 세모녀 사건을 계기로 엉뚱하지만 사각지대 문제를 담는 발굴 대책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이제는 어려운 이웃에게 수급권를 옹호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때입니다.

 

 

3. 가난한 이웃, 자신의 권리 정확히 인식 못해 수급 권리옹호 센터 설치해야

 

가난한 이웃의 권리을 찾아 옹호해주는 기관이 필요합니다. 생활 속에서 찾아오는 각종 고민을 가장 가까이에서 밀접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시/군/구 단위에 설치되는 '약칭, OOO(시, 군, 구) 주민권익옹호센터'를 설치해야 합니다.

--------------------------------------------------------------------------------------------------------------------------------------------------------------------------------------

[2014.02.18. 평화주민사랑방] 주민권익옹호센터를 제안하며...

* 출처, http://pps.icomn.net/441664

--------------------------------------------------------------------------------------------------------------------------------------------------------------------------------------

 

지역주민은 궁핍한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억울한 상황에 놓였을 때, 어디 가서 도움을 청할까요? 법령이나 각종 사회복지 제도 등 정보도 부족하고 돕는 사람, 돕는기관도 없어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이들이 우리 주변에는 여전히 많습니다.

 

이렇듯 고충을 겪는 저소득층 주민들을 위해 상담에서부터 실질적 해결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주민권익옹호센터' 설치가 절실합니다. 센터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과 지원에 머무르지 않고, 주민의 다양한 삶의 고민을 함께 해결해 나갈 것입니다.

 

지역에서 가난한 사람이 겪는 어려움은 수 없이 많습니다. 기초생활 수급자이면서도 생계가 어려울 때, 수급자에서 탈락될 때, 복지시설에서 나가 독립생활을 하고 싶을 때, 감당할 수 없는 빚이 생겼을 때, 전세보증금을 압류당했을 때, 다문화 여성이 이혼으로 갈 곳이 없을 때 등 스스로 풀 수 없는 장벽들이 존재합니다. 이들이 찾아갈 곳이 필요합니다. 주민의 편에서 지원, 중재, 구제, 옹호 등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줄 기관으로 "주민권익옹호센터" 설치을 적극 제안합니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 시행규칙

□ 보건복지부,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이하 안내서)

    *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 다운로드, http://pps.icomn.net/473962

 

○ 안내서 36쪽

가. 가구단위 보장 [법 제2조제8호 및 제4조제3항]

1) 보장가구의 범위

나) 보장가구에서 제외되는 사람(시행령 제2조제2항)

--------------------------------------------------------------------------------------------------------------------------------------------------------------------------------------

(7)세대별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사람과 생계와 주거를 달리한다고 시장・군수・구청장이 확인한 사람

※주민등록표상 자녀가 동일 세대원으로 등재되어 있으나 사실상 생계와 주거를 모두 달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보장가구에서 제외하고 부양의무자로 처리

--------------------------------------------------------------------------------------------------------------------------------------------------------------------------------------

 

○ 안내서 42쪽

나. 별도가구 보장:보장가구에서 분리하여 보장하는 개별가구

2) 가정해체 방지 별도가구 보장

가) 부양의무 미성립 별도가구 보장

(2) (조)부모・(손)자녀(가구)로 이루어진 가구 중 독립한 다른 자녀 또는 (조)부모의 직계 존속으로 인해 부양의무자 기준을 초과한 경우

‑ 아래의 세 가지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다른 자녀 또는 (조)부모의 직계존속과 부양의무 관계에 있는 (조)부모를 제외한 나머지 (손)자녀(가구)를 별도가구로 보장

--------------------------------------------------------------------------------------------------------------------------------------------------------------------------------------

(다)기타 가구특성으로 지방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해 (손)자녀(가구)를 별도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일정기간 동안 결정한 경우

--------------------------------------------------------------------------------------------------------------------------------------------------------------------------------------

 

○ 안내서 43쪽

나. 별도가구 보장:보장가구에서 분리하여 보장하는 개별가구

2) 가정해체 방지 별도가구 보장

나) 가구 분리 시 기준충족 별도가구 보장

--------------------------------------------------------------------------------------------------------------------------------------------------------------------------------------

(2)자신의 집에서 함께 살고 있는 배우자가 없는 형제자매의 소득인정액 때문에 생계 또는 의료급여 선정기준을 초과하는 다음의 가구

① 부부가구 ②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 ③ 부 또는 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한부모가족 포함)

--------------------------------------------------------------------------------------------------------------------------------------------------------------------------------------

 

○ 안내서 45쪽

나. 별도가구 보장:보장가구에서 분리하여 보장하는 개별가구

3) 자립지원 별도가구 보장

○ 개념:수급(권)자 가구에 동일 보장가구원으로 당연 포함되는 자녀*가 취・창업하여 소득이 발생한 경우,

* 자녀의 배우자, 손자녀 및 그 배우자 포함

--------------------------------------------------------------------------------------------------------------------------------------------------------------------------------------

‑ 자녀의 자립을 지원하여 빈곤의 대물림을 예방하고 자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추후 가족 간의 상호부조로 탈수급할 수 있도록 취・창업자녀를 보장가구에서 제외하고 생계급여는 ‘개별 보장 대상자와 생계・주거를 같이 하는 1촌 혈족 및 그 배우자’, 의료급여는 부양의무자로 판단하며, 남은 가구원만 별도가구로 보장

--------------------------------------------------------------------------------------------------------------------------------------------------------------------------------------

 

○ 안내서 241쪽

Ⅰ. 급여의 개요

04 소멸시효 및 소급지급 관련

--------------------------------------------------------------------------------------------------------------------------------------------------------------------------------------

이에 수급자가 성실신고하지 않아 보장기관이 수급자의 소득・재산 및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감소 사실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신고하였을 경우 지급할 수 있었던 급여와의 차액을 추가 급여로 소급 지급할 수 없음

--------------------------------------------------------------------------------------------------------------------------------------------------------------------------------------

 

 

 

[언론보도]

 

[25.5.26 서울신문] 죽음으로 가난을 증명하는 나라
* 출처, https://www.seoul.co.kr/news/editOpinion/column/journalist-viewpoint/2025/05/26/20250526031006

 

[25.5.21 경향신문] 익산 모녀에겐 죽음보다 멀었던 복지제도···번번이 ‘닿지 못하는’ 이유
* 출처, https://www.khan.co.kr/article/202505211657001

 

[25.5.22 중앙일보] '익산 모녀'의 비극…200만원 넘는 병원비, 엄마는 절망했다
*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7862

 

[25.5.19 JTV] 생활고에 무너진 모녀...잇따라 숨진 채 발견

* 출처, https://jtv.co.kr/2021/?c=3/11&uid=2193349

 

[25.5.19 한겨레] 60대 엄마는 왜 ‘열쇠 목걸이’ 건 채 딸을 뒤따라 갔을까

* 출처,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198230.html

 

[25.5.19 경향신문] “먼저 간 딸이 집에 있다”···쪽지 한 장 남긴 채 세상 떠난 익산 모녀

* 출처, https://www.khan.co.kr/article/202505191330001

 

[25.5.19 전주MBC] 한달 새 숨진 익산 모녀..지난해 정부 지원 줄어 형편 어려워

* 출처, https://www.jmbc.co.kr/news/view/54363

 

[25.5.19 노컷뉴스] "친절하던 母 안타까워"…생활고 추정, 잇따라 세상 떠난 모녀

* 출처, https://www.nocutnews.co.kr/news/6341833?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519025656

 

[25.5.18 연합뉴스] 전북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중

*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8046500055?input=1195m

 

[25.5.18 KBS전주] 익산서 모녀 잇따라 숨진 채 발견…“사건경위 조사 중”

*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56812

 

[25.5.18 전민일보] 아파트 15층서 60대 여성 추락..20대 딸 자택서 숨진 채 발견

* 출처, https://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004

 

[25.5.18 머니투데이] 모녀 죽음 내몬 생활고?…60대 엄마와 20대 딸 잇따라 숨진 채 발견

*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1820484054796

 

[25.5.18 서울신문] 전북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 출처, https://www.seoul.co.kr/news/society/2025/05/18/20250518500105

 

[25.5.18 매일경제] 전북 익산서 60대 엄마·20대 딸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

* 출처, https://www.mk.co.kr/news/society/11320172

 

[25.5.18 뉴스1]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신변 비관 추정

* 출처, https://www.news1.kr/local/jeonbuk/5786546

 

[25.5.18 조선일보] 전북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 경찰 "수사 중"

* 출처, https://www.chosun.com/national/incident/2025/05/18/QHOXJP5GAND5HHVLNYWDWZMIBA/

 

[25.5.18 SBS] 전북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

* 출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05234&plink=TOTAL&cooper=SBSNEWSSEARCH

 

[25.5.18 전북일보] 익산서 모녀 숨진채 발견...경찰 수사 중

* 출처, https://www.jjan.kr/article/20250518580293

 

[25.5.18 제민일보] 전북 익산 모녀 유해 발견, 경찰 수사 중

* 출처, https://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03218

 

[25.5.18 프레시안] "병원비·생활고 더 이상 감당 힘들어…" 익산서 60대 엄마·20대 딸 숨져

*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5051822330074017?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25.5.19 전북중앙] 생활고에 딸 장례도 못치른 母 하늘로··· 복지사각지대 여전

* 출처, https://www.jj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6208

 

[25.5.19 kbc] 60대 여성 아파트서 추락해 숨져..20대 딸도 자택서 숨진 채 발견

* 출처, https://news.ikbc.co.kr/article/view/kbc202505190014

 

[25.5.19 헤럴드경제 ] 60대 엄마는 추락사, 20대 딸은 숨진 채 발견…무슨 일?

* 출처,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90070

 

[25.5.19 한국일보] 전북 익산서 60대 엄마와 20대 딸 숨진 채 발견... 생활고 추정

*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1909210001128?did=NA

 

[25.5.19 중앙일보] 익산서 60대 엄마와 20대 딸 숨진 채 발견…생활고 비관 추정

*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6973

 

[25.5.19 TV조선]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경찰 "생활고 비관 추정"

* 출처, https://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19/2025051990061.html

 

[25.5.19 디지털타임스] "먼저 하늘나라 간 딸은 집에" …딸 잃은 슬픔 속 엄마도 숨진채 발견

* 출처,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51902109919002003

 

[25.5.19 시사저널] “먼저 간 딸이 집에”…50일 간격으로 세상 떠난 모녀의 비극

* 출처,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631

 

[25.5.19 YTN] 익산에서 모녀 숨진 채 발견..."생활고 비관 추정"

* 출처,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91000063100

 

[25.5.19 아이뉴스] 익산 모녀 사망사건…"투병 중 의료·생활급여 끊겨" 생활고 추정

* 출처, https://www.inews24.com/view/1845691

 

[25.5.20 서울경제] "먼저 간 딸이 방안에 있다"…20대 딸 장례도 못 치르고 숨진 엄마의 쪽지

* 출처,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VBJK4T2

 

[25.5.20 KBS전주] “익산 모녀 사망…근본 대책 마련해야”
*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58864

 

[25.5.20 전주MBC] 익산 모녀 사망.. '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목소리 높아져
* 출처, https://www.jmbc.co.kr/news/view/54412

 

[25.5.20 JTV] 참여연대 "익산 두 모녀,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 출처, https://jtv.co.kr/2021/?c=3/11&uid=2193427

 

[25.5.20 전북일보] "익산 모녀 사망 사건으로 ‘복지제도 안의 사각지대’ 여실히 드러나”
* 출처, https://www.jjan.kr/article/20250520580333

 

[25.5.20 전북도민일보] 생활고에 비극 이어져…위기가정 근본대책 시급
* 출처,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15357&sc_section_code=S1N8

 

[25.5.20 세계일보] “먼저 하늘나라로 간 딸이 집에 있어요”…숨진 채 발견된 엄마의 쪽지

* 출처,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519515091?OutUrl=naver

 

[25.5.21 세계일보] 익산 두 모녀 비극…참여연대 “전담조직·모니터링 시스템 시급”
* 출처,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521519268
 

[25.5.22 SBS] 익산참여연대 "극단 선택 모녀 비극, 구조적 대책 마련해야"
* 출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10074&plink=TOTAL&cooper=SBSNEWSSEARCH

 

[25.5.22 전북일보] 아직도 복지 사각지대가 많다
* 출처, https://www.jjan.kr/article/20250522580077

 

[25.5.25 연합뉴스] '긴급지원 제외' 모녀 사망 일주일…익산시 "위기가구 복지강화"
*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5028000055

 

[25.5.25 노컷뉴스] 기초수급 탈락 모녀 사망 사건 계기 익산시 재발방지 대책 추진
* 출처, https://www.nocutnews.co.kr/news/6344885
 
[25.5.25 프레시안] 위기가구 '복지 강화' 나선 익산시…'기초수급 중지자 전수 조사' 추진
*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5052520254380969

 

[25.5.25 투데이안] 익산시, ‘보이지 않는 위기’ 복지 사각 해소 총력…수급 중지자 전수조사 착수
* 출처, https://www.todayan.com/news/articleView.html?idxno=575492

 

[25.5.25 아시아투데이] ‘익산 모현동 모녀비극’에 익산시, 위기가구 복지 강화
* 출처,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26010012669

 

[25.5.25 뉴스1] 생활고에 사망한 모녀…익산시, 위기가구 복지 강화 나서
* 출처, https://www.news1.kr/local/jeonbuk/5793622

 

[25.5.25 한국일보] '제2 익산 모녀' 막기 위해… 익산시, 기초생활수급 중단 가구 전수조사
*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514590003774?did=NA
 

[25.5.26 연합뉴스] '제2 익산 모녀 사망 막는다' 익산시, 위기가구 집중관리제 도입
*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6101900055?section=society/all

 

[25.5.26 한겨레] ‘생활고 모녀 사망’ 익산시, 위기 가구 3년 집중관리제 도입
*출처,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199378.html

 

[25.5.26 전라일보] 익산시 소외된 이웃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복지정책 만들었다.
*출처, https://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68267

 

[25.5.27 연합뉴스] 제2의 익산 모녀 사망 없도록…전북도, 복지 사각지대 전수조사 
*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7113000055?section=local/jeonbuk/index

 

[지차체 보도자료]

□ 전북자치도, 복지사각지대 예방 위한 전수조사 추진
* 2025.05.27. 보도자료 원문보기, https://buly.kr/9XLFRz5

 

□ 익산시, '위기가구 3년 집중관리제' 도입
* 2025.05.26. 보도자료 원문보기, https://buly.kr/2UiwDOP

수정_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_241쪽.jpg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고] 문제를 해결하는 중심에 서고, 너무 작아 하지 않는 일들을 찾아 하는 2011.10.06 9973
공지 주민권익옹호센터를 제안하며... file 2014.02.18 5500
309 '사회복지법인 자림복지재단' 법인설립 허가취소 행정처분 이후, 부지활용 및 재산처분 등 청산종결 공유 file 2025.07.02 109
308 ‘익산 모녀’ 기초생활 수급 받을 수 있었다... 2024년 안내서 43쪽 '가정해체 방지 별도가구 보장' 적용했어야... file 2025.05.29 162
307 [전주지법(군산) 판결문] 사단법인 익산실본(익산일시청소년쉼터), '직장내괴롭힘' 조사, "판단 잘못"은 과태료 부과 기준 아냐 file 2025.05.23 214
» 업데이트_[25.5.18 익산 모녀 사건] 언론 보도된 익산시 해명만으론 납득 어려워... file 2025.05.20 256
305 [전주지법(군산) 판결] 사단법인 익산실본(익산일시청소년쉼터) 대표자, 직장내괴롭힘-근로기준법 위반(과태료 300만원 부과) file 2025.05.07 204
304 [전북봉침게이트] 전주시 소송비용액 미회수, 독촉이 전부... (반면, 전북자치도 소송비용액 회수 완료) file 2025.02.11 377
303 과다 지급된 사무처장 인건비 미회수금, 반환청구 소송 중(전북특별자치도장애인체육회) file 2025.01.23 440
302 2025년 상반기 전북 도·시·군별 민생회복, 민생안정, 일상회복 지원금 현황 file 2025.01.22 304
301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주의 가치로 설립한, 사단법인 익산실본(익산일시청소년쉼터) - 근로기준법 위반(취업규칙 미신고, 근로조건 변경 절차 미준수) file 2025.01.20 347
300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주의 가치로 설립한, 사단법인 익산실본 대표이사와 익산청소년쉼터장에 의한 괴롭힘 행위-노동청 과태료 부과 file 2025.01.14 301
299 [판결문 부분공개] 익산시장, 처분대상이 아닌자(청소년복지시설장)에게 한 행정처분은 위법 무효 판결로 혈세 낭비 file 2025.01.07 327
298 '21년 평생교육법(장애인평생교육시설) 및 하위법령 개정 제안, 3년만에 실시_교육부 평생직업교육기획과-1711(2024.5.1)호 file 2024.07.01 290
297 [전북봉침게이트] 전북특별자치도 VS 전주시 소송비용액 회수 주요경과 file 2024.03.04 469
296 수정_군포시[수어통역센터], 가짜법인-불법 사회복지시설 폐지 후 신규 설치신고 "정정" 완료_군포시 노인장애인과-13(2024.1.2)호 file 2024.01.31 376
295 [사회복지사업 직장내 괴롭힘] 익산시, 장애인활동지원기관(사단법인 새해밀) 지도점검 이후... file 2023.12.22 507
294 전주시, 하자있는 보조금환수 패소+근거없는 보조금 환수 또 패소... 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장 송OO(전, 민주당 시의원) file 2023.12.14 340
293 가짜법인. 불법 사회복지시설(군포시수어통역센터) 폐지 및 신규설치-군포시 사회복지과-1111(2023. 7. 12)호, 정비 2023년 12월로 예정 file 2023.07.13 626
292 전주시장, 사회복지시설 종류별 담당부서 및 예.결산, 후원금품 사용내역 2차 공개 file 2023.07.07 496
291 [전북 봉침게이트] 전주시장 승소 후, ‘전북장애인자활지원협회 소송비용액(10,811,920원)' 1년 3개월째 미징수 file 2023.06.30 410
290 [전북 봉침게이트] 전북도지사 승소 후, ‘전북장애인자활지원협회 소송비용액(8,610,890원)’ 3년째 미징수 file 2023.06.29 3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
Top